‘산책냥’이 야생동물을 위협한다? 호주는 논쟁 중

0

호주에서 ‘외출냥이’로 지내는 반려묘들로 인해 야생동물이 피해를 입는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고양이 집사들에게 자제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26일 호주 매체 ABC에 따르면 뉴사우스웨일스(NSW) 주 정부는 NSW 주 의회에 “고양이 통행금지령을 시행할 수 있게 입법에 협조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주 정부 요청은 호주 내 야생동물 전문가들이 꾸준히 주장해온 내용과 일맥상통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야생동물 보호를 이유로 고양이의 외출을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실제 일부 지자체에서는 이를 받아들여 ‘외출냥이’를 금지하기도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입니다.

호주 지역에서 2019년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반려묘 한 마리가 75마리의 토종 야생동물을 죽일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고양이가 야생동물에게 위협을 가하는 주된 원인을 고양이들이 자유롭게 집 밖으로 돌아다닐 수 있도록 키우게 하는 사육법이라고 지목했습니다. 연구진은 문제 해결책이 반려묘를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법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이 조언을 받아들여 ‘고양이 외출 금지법’을 마련한 지자체도 있습니다. 호주 수도 캔버라 주변 지역(Australian Capital Territory)은 지난 1일부터 반려인 없이는 반려묘가 밖에 홀로 돌아다닐 수 없다는 내용의 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NSW에서는 이 법을 제정할 수 없습니다. NSW에서는 이 같은 내용의 법이 반려동물법(Companion animals Act.)과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NSW 남부 지역의 와가와가 시 제니 맥키넌 부시장은 이에 “NSW 의회가 지자체에서 해당 법을 제정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맥키넌 부시장은 “현재 지자체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반려인들에게 책임감 있는 사육을 장려하는 것뿐”이라며 “고양이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데, 개와 다른 반려동물은 집에서 생활해야 하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고 주 의회에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주 의회는 해당 요청이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입니다. 현재 주 의회는 동물보호단체인 호주 RSPCA와 함께 자발적으로 반려인이 고양이를 실내에서만 키우도록 유도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RSPCA 관계자는 “중성화 수술을 통해 야생성을 제한하는 동시에 가정집에서 고양이가 나가지 못하도록 울타리를 치는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며 “고양이 반려인들에게 고양이를 집안에만 두라고 강요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호주 전문가들은 호주에서 멸종한 야생 포유류 33종 중 약 2/3은 고양이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입니다.

그러나 캠페인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호주 국립대(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사라 레지 명예교수는 “호주가 지난 250년간 어떤 나라보다도 심각한 포유동물 멸종 기록을 가지고 있다”며 즉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습니다. 레지 교수는 호주에서 사라진 포유류 33종 중 약 2/3은 고양이 때문에 멸종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레지 교수는 호주 전역에서 효력이 있는 연방법을 통해 전국적으로 반려묘 외출 금지를 시행하는 게 토착 야생동물의 보전을 위한 방법이라 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방 의회 역시 이런 내용의 법안을 시행할 것을 제안했지만, 연방 정부는 자발적인 실내 사육을 유도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이유로 법제화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습니다. 야생동물 보호와 자유로운 사육이라는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호주 사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글=동그람이 정진욱 8leonardo8@naver.com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