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냥냥해변’에 어서 오시게냥~

고양이 가족이 모여사는 어느 아름다운 섬에 갔다. 때마침 놀아줄 사람이 와서 반가웠던 걸까? 해변 앞 편의점의 고양이들은 나를 적극적으로 맞이했다. 고양이들과 나는 해변을 통째로 빌린 기분으로 즐거운 한때를 보냈다. 해맑은 고양이들을 바라보는 순간만큼은, 나 또한 현실적인 고민과 걱정들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

반려견과 식용견의 기준은 무엇인가 [도살장 구조기]

대체 식용견이란 무엇인가, 반려견과 식용견을 가르는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만약 이 둘을 구분하겠다면 누군가의 반려견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식용견 취급받는 현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반대로 식용견이라 이름 붙었던 개가 반려견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우리는 이제 심심치않게 볼 수 있지 않은가.

고양이와의 만남은 ‘한여름밤의 꿈’처럼

때때로 길고양이들과의 만남이 ‘한여름 밤의 꿈’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지난 여름, 공영 주차장의 담장 뒤를 보금자리 삼아 살던 오트밀네 가족과의 만남도 짧지만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 있다.

아기 고양이 씨앗 [냥글냥글 고양이 여행]

옆 동네 고양이 ‘사이다’가 세 마리의 자식을 낳았다. ‘라즈’, ‘블루’, ‘베리’는 모두 밝은 성격이다. 솔직하고 장난기 많은 아이들의 모습에서 사이다의 어린 시절이 겹쳐 보였다. 화분이 놓인 곳은 고양이들이 선호하는 장소였는데, 마치 꽃의 요정처럼 보였다.

1. 짜왕이네 대가족 [냥글냥글 고양이 여행]

2019년 봄 우연히 동네고양이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하면서 길고양이의 매력에 빠져, 3년째 길고양이 사진작가로 살고 있는 진소라. 고단한 현실 속에서도 씩씩하게 살아가는 길고양이와, 그들을 사랑으로 감싸주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가까이, 때론 멀리 여행을 떠난다.

“동물=느낄 수 있는 존재”라는 게 글로벌 스탠다드

지난해 법무부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민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정부 개정안은 이 세 국가의 사례를 참고한 듯하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등 세계의 트렌드는 동물의 지위를 ‘감응력 있는 존재’로 보고 있는데…